소설, 대체로 흐림

세계문학 편집자의 참을 수 없이 즐거운 세계문학 이야기

불문학 7

[프랑스 문학사조] 18세기, 뤼미에르 혹은 계몽주의 혹은 혁명기의 프랑스

절대왕정의 엄격했던 17세기가 지나고 18세기가 도래했습니다. 강력한 왕권 아래 부흥한 프랑스는 정형화된 양식을 중시하며 그 안에서 라신, 코르네유, 몰리에르라는 고전주의 3대 극작가들이 탄생했죠. 세기말에는 파스칼과 데카르트로 대표되는 철학자들이 눈을 뜨게 되었습니다. 이 부분을 몇 번을 썼는데 자꾸 날라가서 이제 쓰기도 힘드네요. 각설하고 18세기로 넘어가도록하죠.   루이14세의 사후 절대왕정은 몰락하게 됩니다. 프랑스는 번영했지만 국가 차원의 개혁들은 모두 실패로 돌아갔고, 사치와 향락이 더해져 이는 경제적 사회적 위기로 치닿게 됩니다. 결국 루이 16세에 이르러서는 사제, 귀족, 그리고 평민 대표로 구성된 삼부회를 소집하게 되는데 이 삼부회의 평민 계급은 이후 등장하는 국민의회의 전신입니다. 그..

非문학 2024.07.16

환갑에 소설 하나 쓱 휘갈기고 프랑스 문단을 아작 씹어먹은 건에 대하여

오르부아르 / 피에르 르메트르"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작가"―《레스트 레피블리캥》(프랑스 일간지)문학은 예체능의 범주에 있습니다. 능력이 필요하지 않은 분야가 어디 있겠냐마는, 보통 예체능은 어릴 때부터 싹을 본다고 하죠. 천재는 일찍부터 알을 깨고 나온다나. 문학은 어떨까요? 사실 소설가/시인은 일찍 등단을 하더라도 전업을 하기 어려워서 빛을 늦게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돈키호테》를 쓴 세르반테슨도 58살에 첫 책을 발표했고, 국내로 보면 박완서 선생님도 마흔 가까이에 등단을 하셨죠. 오히려 이런 대기만성형 작가가 많은 것 같기도 합니다. 프랑스도 예외는 아닌데요, 최근(?) 예순 가까운 나이에 등단해 문단계를 말 그대로 씹어먹는 작가가 있습니다. 살아 있는 현대 작가라서 조금 낯설 수 있지만, 피에르..

프랑스 문학 2024.07.12

불후의 명작을 위해 필요한 것: 매일 커피 50잔

고리오 영감 / 오노레 드 발자크"나는 모든 역사학자, 경제학자, 통계학자를 합친 것보다발자크에게서 더 많은 것을 배웠다."―프리드리히 엥겔스여러분은 하루에 커피를 몇 잔이나 드시나요? 커피는 거의 모든 직장인의 '성수'와 같습니다. 피곤하지만 집중이 필요하고 그럴 때 반드시 찾게 되죠. 그렇다면 혹시 하루에 50잔을 마시는 사람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 저도 아직 본 적은 없는데요, 수업 때 그런 커피에 미친 소설공장장이 있다고 배우기는 했습니다. 필력에 미친놈이 카페인 도핑까지 하면 어떻게 되는지 볼 수 있는 아직 좋은 사례죠. 바로 오노레 드 발자크, 이하 발자크입니다. 지금 내 몸에 흐르는 게 피여, 카페인이여?오노레 드 발자크(본명은 오노레 발자크입니다. 귀족 출신인 것처럼 보이려고 '드'를 끼워..

프랑스 문학 2024.07.11

앗! 야생의 프랑스문학 신간이(가) 나타났다! _ 2024년 7월 1주차

본격 프랑스문학 애호가 컨셉충의 책임 없는 쾌락 콘텐츠…!‘아무도 궁금해하지 않지만 만드는 사람이 재밌으면 그걸로 충분하지 않을까?‘에서 출발한 그 무언가.불무낙몬은 이번주도 달립니다. 마크롱이 광고 문의를 할 때까지!1. #작가들 #앙투안볼로딘 #워크룸프레스힙스터 출판사 워크룸프레스의 힙스터 작가 앙투안 볼로딘 선집.국현미를 배회하는 느낌이랄까, 독특한 분위기가 인상적인 작가다.힙스터 뽕맛에 취하려면 이 작가와 베케트는 필수. * 사실 이렇게 말했지만, 나도 볼로딘의 작품을 읽어보지 못했다. 키냐르와 비슷하지 않을까.'봐야지 봐야지' 생각하면서도 '나중에'를 꼭 붙였던 기억이. 후기 좀 남겨주세요. 2. #가자에띄운편지 #발레리제나티 #바람의아이들요샌 부쩍 청소년 소설이 강세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

나를 사랑하는 저 사람을 지독한 파멸의 늪으로!

《나나(Nana)》 _ 에밀 졸라 루공 마카르 가문에는 소설 같은 저주가 내려져 온다네 《나나》는 에밀 졸라 〈루공-마카르총서〉의 아홉 번째 소설이자 《목로주점》에서 이어지는 작품이다. 《목로주점》에서 밑도 끝도 없이 불쌍하고 애잔했던 제르비주의 딸내미 나나의 이야기로, 에밀 졸라의 작품 아니랄까 봐 상황이나 묘사가 처절하다. 처절하고 비참하기는 하지만 사실 주인공 나나가 비참하기보다는 나나의 치명적인 매력에 감염된 그녀 주위의 남자들이 처참한 것인지라 제르비주와는 또 다른 느낌을 준다. 물론 나나의 끝도 해피엔딩은 아니지만, 생전에 하고 싶은 것은 다 하고 갔으니 비극의 유전자로 똘똘 뭉친 마카르 집안의 돌연변이처럼 보이기도 한다. 나나 주위의 남자는 최소 파산에 이르거나 가난을 비관하며 자살했고 그런..

프랑스 문학 2021.12.18

어떻게 노벨문학상 수상자는 커밍아웃했을까

《반도덕주의자(L'Immoraliste)》 앙드레 지드 소설은 허구의 장르다. 물론 작가가 소설 속에 사실적인 요소를 넣으면서 수필과 소설의 경계를 허물면서 작품의 주제 의식을 강조할 수는 있지만, 작가가 직접 "이건 백퍼 팩트인 수필이요"라고 하지 않는 이상 소설은 어디까지나 허구의 장르로 남는다. 소설이 줄 수 있는 가치는 여러 가지가 있고 그 중 가장 앞쪽에 있는 건 줄거리를 앎으로서 얻을 수 있는 재미일 것이다. 하지만 소설, 특히 고전을 읽을 때는 줄거리 너머에 있는 것을 읽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고전에는 현대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2020년에 출간된 소설에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건 동시대의 문제 의식을 공유하기 때문인데 아무래도 100년 전, 1000년 전의 작품의 의식을 공유하..

프랑스 문학 2020.10.12

왜 미래가 보이지 않아도 하루하루 살아가야 할까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 _ 사무엘 베케트 기다림의 끝도 달콤하지만 사실 기다리는 시간에도 은은한 향이 난다는 것을, 누군가 혹은 무엇인가를 간절히 기다려본 적이 있는 사람은 알 수 있다.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저 먼 곳부터 한 발자국, 또 한 발자국, ‘그것’이 다가온다. 그것이 다가오면서 내뿜는 향기가 너무도 진하기 때문에, 그 향기를 느끼지 못할 수가 없다. 하지만 문제는 그 잔잔한 향기가 달콤함으로 바뀌지 않을 때다. 아주 오랜 시간 기다리더라도 달콤한 것이 올 것 같지가 않다면? 그래도 기다려야만 할까? 기다리는 사람들 사무엘 베케트의 는 매우 정직한 희극이다. 부조리극 혹은 반연극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여겨지는 이 작품은, 제목 그대로 고도가 오기를 기다리며 달콤함..

프랑스 문학 2020.10.12
728x90
반응형